경제 공부 스쿠류 2020. 9. 5. 21:39
돈의 속성 책을 샀는데 '돈의 속성'이라는 베스트셀러 소책자 같은 게 딸려왔다. 그냥 홍보 책자다. 책의 앞에 부분이 조금 쓰여 있는 것이었다. 김승호라는 분이 쓰신 것인데 유튜브 1,100만 명이 시청한 내용이라고 하던데 내가 찾아보았을 땐 1,100만 조회수를 기록한 관련 영상은 없었다. 이것 저것 김승호, 돈의 속성과 관련된 동영상의 조회수는 다 영끌해서 1,100만 조회수라는 마케팅 문구를 만들어낸 듯 보인다. 그럼에도 일단 조금만 읽어봐도 공감가는, 영감을 주는 문구들이 많아 리뷰해보기로 했다. 우선 부자들이 하는 말은 대개 비슷한 것 같다. 내가 이 돈의 속성 프리뷰를 읽은 내용 중 핵심은 이렇다. 핵심 1. 돈을 잘 대해줘라. 2. 종잣돈부터 마련하라. 3. 복리를 활용하라. 4. 꾸준히 공..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9. 3. 17:39
주식 주포 주식 관련 커뮤니티나 게시판을 돌아다니다 보면 '주포'라는 단어를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포가 운전을 못하네.', '주포가 운전을 잘하네' 이런 문장을 볼 수 있었다. 주포가 누구? 주포가 누구길래 운전을 잘한다, 못한다 평가를 하는 것일까? 주포는 세력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라고 한다. 한 주식 종목에서 주식 거래 흐름을 흔들어놓을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주식을 보유한 사람 또는 기관이다. 보통 큰 주식에서는 기관이나 외국인들을 지칭하는 말이나 몇 천 억원대의 규모가 작은 주식에서는 몇 백억원 자산을 보유한 슈퍼 개미가 주포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이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가격을 맞추기 위해 개미들을 조종하는 행위를 '개미털기'라고 볼 수 있다.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시세차익을 얻기..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9. 2. 22:28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이자 월급을 받고 신용카드 결제대금 갚고, 할 거 다 하니 적더라도 얼마가 남게 되었다. 그래서 주식을 또 사볼까 드릉드릉 거리는데 최근 링네트 마이너스 20% 손실난 것도 있고, 다음주면 현금이 필요한 일이 생길 것 같아 참기로 한다. 그런데 내 마음이 언제 변할지 몰라 불안하다. 그러던 중 카카오뱅크에 세이프박스라는 제도가 있다고 한다. 넣어두면 이자가 나온다고 한다. 나는 은행 이자보다만 높아도 이익이라고 생각이 들어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이율에 대해 알아봤다. 이율 1.2%에서 0.5%로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이율은 처음에는 연 1.2%였으나 2020년 9월 2일 현재 연 0.5%이다. 매월 네번째 금요일 기준으로 결산하여 네번째 주 토요일에 이자가 들어온다고 한다. 연 이자..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9. 2. 22:11
PER 무슨 뜻 주식 관련 유튜브를 보는 FANG이라고 불리는 미국의 대표적인 혁신 기업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에 투자자들이 높은 PER을 부여했다고 합니다. 높은 PER을 부여했다? 무슨 의미일까 못알아들었습니다. 잘 나가는 기업들이니까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였는데 도대체 PER이 무엇이길래 그럴까요? PER 의미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우리나라 말로는 주가 수익 비율이라고 합다. 기업의 현재 가치를 나타내는 시가 총액 (주식 수 * 주가)을 순이익으로 나눈 것이 PER이라고 합니다. 만약 내가 어떤 기업을 샀을 때 인수 비용을 본전치기하기 위해서 그 기업이 지금 벌어다주는 수익을 몇 년동안 지속해야 타산이 맞을까를 따져볼 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9. 2. 21:57
ETF란? 주식을 저번 달에 접한 주린이기 때문에 새로운 단어들을 많이 접한다. 굉장히 많이 보이는 단어가 있는데 'ETF'이다. '직접 투자하기 싫으면 ETF에 투자를 하라'는 이야기를 종종 볼 수 있다. ETF의 개념과 대표적인 주식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위키백과에 의하면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우리나라 말로는 상장지수 펀드라고 한다. 이름은 펀드이지만 주식처럼 거래되기 때문에 주식 판에서 ETF가 많이 언급되는 것이다. ETF는 추종하는 지수의 구성종목들로 펀드를 구성한다고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지수는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코스피200이다. 코스피에 상장된 우리나라의 주식들 중 시총 순위가 높고 거래량이 높아 코스피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20..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9. 1. 21:58
삼성증권 렉 오늘 아침 관심 종목이 있어서 장 개장하자 매수하려고 준비하고 있었다. 9시가 되어서 접속했더니 내 자산을 볼 수도, 주식 매매도 할 수 없을 만큼 렉이 오졌다. 기다리다가 결국에 사긴 샀는데 사자마자 막 흐르기 시작했다. 오른다며! 오른다며! 어이없게 50원씩 계속 빠지더라. 그 이름은 디피씨. 계속 들어갔는데 똑같이 마이 자산에 들어갈 수 없어서 자산이 얼마나 줄었는지 볼 수 없고, 매매도 계속 서비스 이용 어쩌구 저쩌구 나오면서 안 되서 매도할 수가 없었다. 나는 고작 20만 원 넣었다만 진짜 몇 백, 몇 천 넣은 사람들은 땀이 삐질삐질날 만한 상황이었다. 그렇게 30분이 흘렀고 9시 30분 정도에 해볼 만해지더라. 흐르기 시작한 디피씨 주식은 매수 가격 20,500원에서 19,800원..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8. 31. 22:31
주식 52주 신고가 내가 투자한 한화솔루션이 오늘 52주 신고가를 달성했다고 한다. 전기차 아이오닉 라인을 선보인 현대차 또한 주가가 18만 원으로 치솟으며 52주 신고가가 되었다고 한다. 52주 신고가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신고가는 새로울 신, 높은 고, 값 가 이 세 한자가 합쳐진 단어이다. 그러니 새로운 높은 가격이라고 직역된다. 이 앞에 52주가 붙은 것이다. 이 말은 52주 만에 주식이 가장 높은 가격을 친 것이다. 1년을 주 단위로 환산하면 52주라고 한다. 그러니 신고가를 기록했다고 하면 최근 1년, 52주 동안 가장 높은 가격이 된 것이다. 52주 신고가가 된 주식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한다. 신고가르 쳤지만 실적 개선 여부에 따라 주식가격이 더욱 오를 회사들도 존재하기 때문이..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8. 31. 22:23
주식 매수 4가지 원칙 주식을 할 때 자신만의 원칙이 있어야 된다고 한다. 나는 진짜 주린이라고 실감하고 있다. 나만의 원칙도 없고, 개념도 없고, 무작정하는 중이다. 그런데 진짜 막 하다 보니 수익이 나기도, 손해도 나긴 하는데 줏대없어 사고 파는 나 자신이 너무 혼란스러웠다. 왜 원칙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는지 알 것 같다. 그래서 주식을 사는 4가지 원칙이라는 글을 참고해보기로 했다. 1. 아는 주식을 사라. 알지도 못하는데 다른 사람이 좋다고, 사라고 해서 사지 말라고 한다. 그거 바로 주식을 거품으로 쌓아올리는 짓이고, 그런 주식은 언제 푹 꺼질지 모른다는 것이다. 나의 링네트가 그렇다. 상한가 치길래 계속 상한가 칠 줄 알았다. 10% 이상 손해가 났는데 내일은 어쩔지... 욕심에 눈 멀어 첨 ..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8. 31. 22:11
주식 손절매 주식하면서 본 단어. 손절매다. 손절매의 뜻과 어떨 때 손절매를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손절매 뜻 손절매는 손해의 준말인 '손', 자를 '절', 팔 '매' 이 한자들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말 그대로 해석하면 손해를 보더라도 칼 같이 잘라 주식을 팔아버리는 것이다. 경제상식사전에는 매입 가격보다 낮은 가격이지만 보유 주식이 계속해서 하향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상승할 여력이 보이지 않을 때 팔아 벌리는 것이 '손절매'라고 한다. 가지고 있다가 큰 손해를 보느니 덜 손해를 보기 전에 보유주식을 파는 것이다. 손절매 타이밍 손절매를 잘해야 주식으로 잃을 수 있는 손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원칙적으로 투자 원금의 7% 이하가 되지 않게 그 즈음에 손절매를 해야 한다고 한다. 단기투..
경제 공부 스쿠류 2020. 8. 30. 22:03
이자 5% 적금 돈이 정기적으로 들어오니 돈은 불리거나 모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최근에 주식도 시작했다. 그런데 주식의 불안정성에 대해 내 멘탈이 견딜 수 있느냐가 문제였다. 지금은 100만 원 이하의 소액 투자이지만 월급을 받을 수록 투자금은 높아질 것이고, 그만큼 수익을 벌수도 있다. 하지만 손해를 볼 수 있다. 그래서 은행 적금으로 눈을 돌려보았다. 찾아보니 이자 최대 5%의 높은 적금이 존재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을 위해 이 적금을 소개해보려 한다. KDB X T high 5 적금 이 적금의 이름은 KDB X T high5 적금이다. KDB는 산업은행이다. 제 2, 3금융권 저축은행이 아닌 국가 은행이니 믿을 만하다고 볼 수 있다. 산업은행과 SK텔레콤이 콜라보를 해서 만들어낸 적금이기..